김 훈 기자
소비자단체들이 건강보험 개편과 지역 통합돌봄 체계의 혁신을 위한 핵심 대안으로 ‘K-주치의제도’ 도입을 제안하며 정치권에 본격적인 압박에 나섰다.
한국소비자연맹이 주축이 된 ‘대선 주치의제도 범국민운동본부’는 22일,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에 주치의제도 도입을 골자로 한 정책 제안서를 공식 전달했다. 이번 제안서는 “질 중심의 의료 전환”을 키워드로, 국민 건강증진과 의료비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한 로드맵을 담고 있다.
운동본부는 제안서에서 ▲일차의료 중심의 주치의제도 정착 ▲전문 의료인력의 국가 주도 양성 ▲지역사회 통합돌봄 연계 ▲건강보험 재정 효율화 ▲환자 중심 의료체계 구축 등 5대 정책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소비자연맹 관계자는 “지금까지는 치료 중심, 병원 중심의 의료체계가 만연했지만, K-주치의제도는 예방과 관리 중심의 일차의료 혁신을 통해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근본적인 변화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제안은 오는 대선을 앞두고 각 정당의 보건의료 공약 수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최근 ‘통합돌봄’과 같은 지역 밀착형 보건정책을 준비 중인 가운데, 소비자단체의 요구를 어떻게 수용할지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