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미국 대통령, 출처 : 백악관

중남미 농산물 관세 인하로 고물가 진화에 나서

트럼프가 중남미 관세 폭탄 정책을 전환한다.

트럼프 행정부가 14일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등 중남미 4개국산 커피, 바나나, 쇠고기 등 농산물 관세를 전격적으로 인하하거나 철폐하기로 결정했다.

그동안 트럼프 대통령이 강력하게 밀어붙여 온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미국 내 고물가를 심화시키며 소비자들의 민생을 위협했다.

이 조치는 내년 중간 선거를 앞두고 정치적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실용적인 정책 선회로 해석되고 있다.

관세의 역설이 낳은 소비자 물가 폭등

이번 관세 인하의 가장 직접적이고 강력한 배경은 트럼프 행정부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 정책이 미국 경제에 “관세의 역설”을 가져왔다는 점이다.

수입품에 매겨진 관세가 결국 최종 제품 가격을 끌어올려 그 비용이 고스란히 미국 소비자들의 장바구니로 전가되면서 인플레이션 압박이 극심해졌다.

실제로 최근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보면, 커피 가격이 전년 대비 41% 폭등하는 등 미국에서 자체적으로 대량 생산되지 않는 주요 생필품 가격이 치솟았다.

이에 유권자들의 불만이 최고조에 달하며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지지율 하락 요인으로 작용하자, 행정부는 고물가 논란을 진화하기 위한 긴급 처방을 내놓은 것이다.

이는 최근 지방선거에서 민주당이 물가 이슈를 집중적으로 공략하며 승리한 후, 트럼프 행정부가 민심 이반이 심각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중남미 국가와 상호무역협정 프레임워크 합의

트럼프 대통령은 14일 아르헨티나, 에콰도르, 엘살바도르, 과테말라 4개국과 ‘상호무역협정 프레임워크’ 공동 성명을 발표하고 해당 농산물 품목들에 대한 관세 인하를 공식화했다.

이 협정은 농산물 외에도 기계류, 의약품, ICT 제품 등 광범위한 품목의 관세 인하 또는 철폐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중남미 국가들과의 경제 협력을 증진하고 글로벌 공급망을 다변화하려는 의도도 담긴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 우선주의’의 정책적 변곡점에 서다

이번 조치가 트럼프의 ‘미국 우선주의’ 기조를 완전히 포기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의 정책이 소비자 민생에 영향을 미칠 때는 예외를 인정하는 실용적인 유연성을 보여준다고 해석된다.

미국 제조업 보호라는 대의를 유지하면서도, 물가라는 정치적 뇌관을 제거하기 위해 일시적으로 후퇴한 이번 결정은 향후 트럼프 행정부의 통상 정책에 있어 변곡점이 될지 주목받고 있다.

By 김도균 기자

스카이메타뉴스 편집국장 김도균입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한국산업은행 제1회 시험출신 행정사 (전)소비자경제신문 기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