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경, 출처 : 스카이메타뉴스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 기준)이 2025년 8월 말 0.61%(잠정)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4일에 발표한 ‘25.8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잠정]’ 자료에 따르면, 8월 말 연체율은 전월 말(0.57%) 대비 0.04%p 상승했다.

8월말 원화대출 연체율은 전년 동월 말(0.53%)과 비교해서는 0.08%p 상승했다.

신규 연체 발생액이 정리 규모 상회

이러한 연체율 상승은 신규 연체 발생액이 연체 채권 정리 규모를 상회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5년 8월 중 신규 연체 발생액은 2.9조 원으로 전월(2.8조 원) 대비 0.1조 원 증가했으며, 연체 채권 정리 규모는 1.8조 원으로 전월(1.6조 원) 대비 0.2조 원 증가했으나, 정리 규모(1.8조 원)보다 신규 연체(2.9조 원)가 더 크게 발생하면서 전체 연체율이 상승했다.

이에 따라 8월 중 신규 연체율(‘25.8월중 신규 연체 발생액/’25.7월말 대출잔액)은 0.12%로 전월(0.11%) 대비 0.01%p 상승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연체율이 전월 대비 상승했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 말(0.67%) 대비 0.06%p 상승했으며, 특히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이 0.89%로 전월 말(0.82%) 대비 0.07%p 올랐다.

중소기업 중에서도 중소법인 연체율은 0.97%로 0.07%p,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8%로 0.06%p 각각 상승했다.

대기업대출 연체율도 0.15%로 전월 말(0.14%) 대비 0.01%p 상승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45%로 전월 말(0.43%) 대비 0.02%p 상승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30%로 전월 말(0.29%) 대비 0.01%p 소폭 상승했으며,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92%로 전월 말(0.86%) 대비 0.06%p 상승했다.

금융감독원은 향후 내수 부진 지속 및 대내외 불확실성 상존에 따른 연체·부실 확대 가능성에 대비하여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 흡수 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이 상승함에 따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의 11월 금리 인하 여부가 주목된다.

또한, 신규 연체 발생액 대비 정리 규모가 적고 취약 부문에 대한 대출 비중이 높은 은행을 중심으로 부실채권 상매각, 충당금 확충 등을 통해 자산 건전성 관리를 강화하도록 지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편, 연체율은 통상적으로 분기 말에 연체 채권 정리 확대 등으로 큰 폭 하락한 후 익월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 있다.

산업은행 관계자는 “2025년 3분기 GDP가 1.2% 상승하는 수치를 통해 경제상황이 호전 된다는 견해가 있으나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상승을 놓고 본다면 섣부른 판단이다”고 말했다.

산업은행 출신 경제학 박사는 “원화대출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어 경제위기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 금통위가 기준금리 결정에 신중해야 할 것이다”고 말해 11월 금통위에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One thought on “국내은행 원화대출 연체율 0.61%로 상승… 전월 대비 0.04%p↑”
  1.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모두 연체율이 전월 대비 상승 그리고 주가는 폭등 중
    한국경제 ???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