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 시위현장에서 차량이 불타고 있다. 출처 : 유튜브 캡춰 화면

김도균 기자

네팔이 최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금지 조치를 둘러싼 대규모 시위로 극심한 정치·사회적 혼란에 빠졌다.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확산된 시위는 정부 건물 방화와 다수의 사망자를 초래했고, 총리의 사임과 군대 투입에도 불구하고 사태는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다.

이번 사태의 발단은 네팔 정부가 페이스북, 유튜브, X(전 트위터) 등 주요 SNS 플랫폼에 등록 의무를 부과하며 사실상 사용을 금지한 데서 시작됐다. 정부는 정보 관리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내세웠지만, 시민들은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조치로 받아들이며 즉각 반발했다. 특히 인터넷과 모바일 환경에 익숙한 ‘Z세대’ 청년층을 중심으로 분노가 확산됐다.

시위는 곧 전국적인 규모로 번졌고, 수도 카트만두에서는 의회와 법원, 정치인 자택 등이 시위대의 방화 공격을 받았다. 경찰의 강경 진압 과정에서 최루탄과 실탄이 사용되면서 최소 19명이 사망하고 수백 명이 부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지 병원들은 긴급 환자로 과부하 상태에 놓였다.

정국 불안이 심화되자 K.P. 샤르마 올리 총리는 9일(현지시간) 전격적으로 사임을 발표했다. 그러나 지도부 교체에도 불구하고 시위는 멈추지 않았다. 시위대는 단순한 사임이 아니라 부패 청산과 권력 구조 개혁, 나아가 전체 정부 해산을 요구하며 도심 곳곳에서 집결을 이어갔다. 결국 네팔 정부는 일부 SNS 금지 조치를 철회하고, 사태 수습을 위해 15일 이내에 독립 조사위원회를 구성하겠다고 발표했다. 희생자 보상과 치료 지원도 약속했지만, 시민들의 불신은 여전히 크다.

치안 당국은 상황 통제를 위해 군대를 투입했다. 카트만두 주요 도로에는 군 병력이 배치됐고, 전국에 사실상 무기한 통금이 선포됐다. 경찰과 군의 합동 작전으로 수십 명의 시위 참가자가 체포됐지만, 곳곳에서 산발적인 시위가 이어지고 있다.

국제 사회도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인도 정부는 자국민의 네팔 여행을 자제하라고 권고하고 현지 교민 보호를 강화했다. 국제 인권 단체들은 네팔 정부의 과도한 무력 사용에 대해 독립적인 조사를 요구하고 있다. 중국과 주변국들은 조속한 안정을 촉구했지만, 네팔 내부에서는 정부 불신이 깊어 제도적 개혁 없이는 혼란이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네팔 사태는 단순한 SNS 규제 논란을 넘어 부패, 권력 세습, 정치 불안정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분노가 폭발한 사건으로 평가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네팔 젊은 세대의 정치적 각성과 맞물려 향후 동남아시아 민주주의 지형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

By 김도균 기자

스카이메타뉴스 편집국장 김도균입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한국산업은행 제1회 시험출신 행정사 (전)소비자경제신문 기자

One thought on “네팔, SNS 금지 조치로 촉발된 대규모 시위…총리 사임과 군 개입에도 혼란 지속”
  1. 네팔 사태는 부패, 권력 세습, 정치 불안정 등 구조적 문제에 대한 사회적 분노가 폭발한 사건으로 SNS 규제는 사회적 분노를 표출하는 트리거가 되었을 뿐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