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심청 기자
대웅제약(대표 윤재춘)은 28일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5년도 제1차 바이오헬스분야 연구개발 사업’에서 자사의 ‘디지털트윈 기반 바이오의약품 차세대 제조공정 기술개발’ 과제가 국책 과제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디지털트윈 기술은 실제 제조 환경을 가상 공간에 정밀하게 재현해, 실시간 데이터 기반으로 공정을 시뮬레이션하고 최적화할 수 있는 차세대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대웅제약은 이 기술을 세포 배양부터 정제까지 바이오의약품 제조 전 과정에 적용해 공정 오류를 예측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실증 연구에 돌입한다.
이번 과제를 통해 대웅제약은 오송 스마트팩토리에서 이미 운영 중인 자동화 시스템에 디지털트윈 솔루션을 접목하고,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축적해 무인화·정밀화된 생산 체계를 구축한다. 특히 공정 설계 과정에서 반복 실험 없이 다양한 조건을 가상 시뮬레이션으로 검증함으로써 개발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유지민 바이오R&D센터장은 “디지털트윈 기술은 정밀한 데이터 기반의 예측을 가능하게 해 바이오 생산 공정의 안정성과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며, “이번 과제를 통해 한국 바이오 제조 산업의 선도적 위치를 더욱 확고히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웅제약은 이번 국책 과제를 통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반의 고도화된 생산 체계를 본격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할 방침이다.
대웅제약이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고, 디지털 기반의 고도화된 생산 체계를 본격적으로 산업 현장에 적용하기를 기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