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파하남선 노선도, 출처 : 스카이메타뉴스

김훈 기자

국토교통부 산하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2일 ‘서울 3호선 송파하남선 광역철도’ 기본계획을 공식 승인했다. 이 사업은 서울 송파구 오금역에서 경기도 하남시청역까지 총 연장 11.7km, 정거장 6곳을 신설하는 중량전철 노선으로, 총사업비 1조 8,356억 원이 투입된다. 개통 목표는 2032년이다.

이번 승인으로 하남시 감일·교산지구 일대는 강남권과의 직접 연결 교통망을 확보하게 되며, 서울 3호선의 동남부 연장 효과와 함께 하남지역의 교통 여건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전망이다. 특히 하남교산에서 강남고속터미널까지 소요시간이 현재 70분에서 개통 후 40분으로 단축될 예정이며, 별도 환승 없이 양재·교대·고속터미널 등 주요 업무지구까지 곧바로 접근이 가능해진다.

하남 교산·감일, 서울 도심 접근성 대폭 개선… 부동산 시장 ‘촉각’

교통망 개선은 부동산 시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연장되며 하남시 감일·교산 일대는 사실상 서울 강남권과 생활권을 공유하게 된다. 기존에 교통 여건 부족으로 가격 상승이 제한적이었던 이들 지역은 이번 철도 계획 확정으로 서울 동남부와의 연결성이 확고해지며 개발 기대감이 더욱 고조될 전망이다.

특히 감일지구는 이미 1만 세대 이상이 입주를 마친 상태에서 도로 혼잡과 대중교통 불편이 주요 민원으로 제기돼 왔다. 이번 3호선 연장은 이러한 교통 병목을 해소하고 자족기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교산지구는 아직 본격적인 입주 전 단계지만, 이번 철도 계획 확정으로 투자 수요가 급격히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하남 교산은 개발 초기부터 ‘제2의 판교’를 표방하며 자족기능과 광역교통 연계를 동시에 추진해왔다”며 “서울 지하철 3호선이라는 강남 직결 교통망이 현실화됨에 따라 가격 메리트가 커지고, 신축 단지를 중심으로 분양가·매매가 모두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GTX·SRT와 연계… ‘광역교통 허브’로 도약하는 하남

송파하남선은 단일 노선 개통에 그치지 않는다. 기존 서울 지하철 5·8·9호선은 물론 SRT, GTX 등 수도권 주요 교통망과의 연계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하남은 단순한 서울 배후 신도시를 넘어 수도권 광역교통의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국토부 김수상 대광위 본부장은 “이번 송파하남선 계획 승인은 최근 승인된 고양은평선, 강동하남남양주선과 함께 3기 신도시 광역교통 체계의 실질적 첫걸음”이라며 “2032년 개통을 차질 없이 이끌고 연계 교통망 확보에도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By 김 훈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