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데이터 기반의 AI 스타트업 ‘뷰노’,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김도균 기자

카카오 정신아 대표·카이스트 장영재 교수 등 참여…AI 세탁소·의료기기 스타트업 사례도 소개

【경주=스카이메타뉴스】“처음엔 반신반의했지만, 지금은 박사급 직원 2명 몫을 해냅니다.” 사천의 한 중소제조기업 대표는 AI 솔루션 도입 이후의 변화를 이렇게 요약했다. 18일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경주 라한셀렉트에서 개최한 ‘AI 토크쇼’ 현장에서다.

‘모두의 AI, 우리의 AI’를 주제로 열린 이번 AI 토크쇼는 제조업, 패션, 의료 등 다양한 산업의 AI 전환 사례를 공유하고, AI 확산을 위한 제도 개선과 정부 지원의 필요성을 논의하는 자리로 꾸려졌다.

현장에는 최태원 대한상의 회장을 비롯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 장영재 카이스트 교수 등 산·학·스타트업 대표들이 총출동해 생생한 사례를 전했다.

카이스트 장영재 교수는 “AI는 단순 자동화가 아니라 공장 두뇌의 역할을 맡아 생산 공정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박사 2명이 한 달간 투입해야 가능한 시뮬레이션을 AI는 30분 만에 처리할 수 있다”며 “디지털 트윈을 활용하면 현장 방문 없이도 원격 최적화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중소기업 관계자들도 현실적인 고민을 토로했다. 한 제조기업 부사장은 “로봇 도입으로 오히려 수억원이 더 들었는데, AI 솔루션으로 비용을 대폭 줄였다”며 “AI 도입은 선택이 아니라 생존”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스타트업들의 다양한 AI 응용 사례도 소개됐다.
세탁특공대의 예상욱 대표는 “세탁 공장을 직접 운영하면서 고객의 케어라벨 데이터를 AI가 학습하고 있다”며 “이를 기반으로 개인화된 패션 추천 서비스를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AI 기반 검색엔진 ‘라이너’의 김진우 대표는 “전문지식 하이라이팅 데이터를 학습시켜 AI 검색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AI 의료기기 스타트업 ‘뷰노’의 이예하 대표는 “심장 나이, 심정지 위험을 예측하는 AI 서비스를 외딴 섬에서도 제공할 수 있다”며 현장에서 심전도 측정 기기를 직접 시연했다.

청중 질의응답 시간에는 AI 도입에 대한 실질적 고민도 제기됐다. 한 지방 제조기업 대표는 “AI가 남의 이야기인 줄 알았는데 오늘 확신을 얻었다”며 “중소기업에 맞는 맞춤형 솔루션과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최태원 회장은 최근 ‘AI 글로벌 협력 간담회’에서 △정부 주도의 AI시장 선도, △제조 AI 특구 지정, △AI 바우처 확대 등을 제안하며 국내 AI 생태계 확대에 앞장서고 있다.

정신아 카카오 대표는 “AI가 어렵고 낯설게 느껴질 수 있지만, 누구나 쉽게 다가갈 수 있는 AI를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데이터 기반의 다양한 산업 응용이 그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이번 AI 토크쇼를 계기로 매년 전국 CEO들과 함께 AI 확산의 공감대를 넓히는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