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균 기자
2025년 상반기 중 국내에서 판매된 벤츠, BMW, 포드, 한국지엠 등 5개 자동차 제작·수입사의 차량 8만여 대가 배출가스 관련 결함으로 리콜(결함시정) 조치를 받았다. 이 가운데 벤츠 S580, BMW 520d, 포드 링컨 코세어, 한국지엠 크루즈 등 인기 차종이 포함돼 있어 소비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환경부는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라, 특정 부품에서 일정 수준 이상의 결함률이 발생한 차량에 대해 의무적 리콜을 명령했다고 15일 밝혔다. 해당 리콜 대상 차량은 총 51차종, 8만2,537대에 달하며, 이들 차량은 부품 손상, 연료 누유, 증발가스 누출, 촉매 파손 등 대기오염과 직결되는 문제가 확인됐다.
의무 리콜과는 별개로 기아, 폭스바겐 등을 포함한 5개사는 자발적으로 16차종, 4만2,000여 대에 대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등의 방식으로 결함시정에 나서고 있다.
리콜 확인 및 신청 방법
리콜 대상 차량 여부는 ‘자동차리콜센터’(www.car.go.kr)에서 차량 등록번호나 차대번호를 입력해 확인할 수 있다. 차량 소유자는 각 제작사의 고객센터를 통해 리콜 예약을 할 수 있으며, 문자 또는 우편으로 리콜 안내를 받게 된다.
또한 리콜 개시 이전에 소비자가 자체적으로 결함을 수리한 경우, 관련 영수증과 서류를 갖추어 제작사에 보상청구도 가능하다. 이 경우 각 사의 고객센터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소비자 보호를 위한 강력한 감시 필요
벤츠, BMW 등 프리미엄 브랜드를 포함해 다수의 차량이 배출가스 결함으로 리콜에 들어간 것은 제작사의 품질관리 책임에 의문을 던진다. 특히 동일 차종에서 수천 건의 결함이 발생한 것은 단순한 예외 사례가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동차 업계는 단기적 대응이 아닌, 설계부터 품질검사까지 전반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