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균 기자
11일자 로이터 통신 보도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의 국영자산감독관리위원회(SASAC)는 이번 주 주요 지방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스테이블코인과 디지털 자산에 대한 정책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내부 회의를 개최했다. 이는 2021년 이후 강력하게 시행되어온 암호화폐 금지 정책 기조에 변화의 조짐이 나타났다는 분석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허칭(He Qing) SASAC 책임자는 “우리는 신기술에 대한 민감도를 높이고, 디지털 자산에 대한 이해를 체계화해야 한다”며 “시장에서 실제로 활용되는 디지털 화폐의 진화를 면밀히 주시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로이터는 해당 회의가 상하이시 소속 60~70여 명의 국영 기업 관리자들과 규제 당국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으며, 회의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정책 대응과 기업 활용 가능성이 집중 논의되었다고 전했다.
중국 내에서는 최근 전자상거래 대기업 JD.com과 Ant Group(알리페이 운영사) 등이 위안화에 연동된 스테이블코인을 홍콩에서 발행하기 위한 라이선스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홍콩 금융당국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정식 규제 프레임을 올해 상반기에 마련하면서, 본토 기업들이 ‘홍콩 경유’ 방식으로 글로벌 디지털 금융 생태계 진입을 시도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하지만 중국 인민은행(PBOC)의 공식 입장은 여전히 보수적이다. 판궁성(Pan Gongsheng) 총재는 지난달 열린 디지털통화 포럼에서 “스테이블코인은 금융시장의 안정성과 통화 주권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특히 민간 주도의 통화 발행은 신중히 규제되어야 한다”고 발언한 바 있다.
이번 상하이 회의는 이러한 중앙정부의 기조 아래에서도 지방 차원에서 스테이블코인의 제도적 도입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특히, 기존 암호화폐와 달리 스테이블코인은 법정통화에 연동되어 있어 통화정책에 직접 충돌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기술적 실험과 상업적 활용이 부분적으로 허용될 여지가 있다는 평가도 있다.
현재까지 중국 본토에서는 암호화폐의 채굴, 거래, 홍보 등이 금지된 상태이지만, 홍콩은 비교적 개방적인 입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금융허브로서 스테이블코인을 포함한 Web3 생태계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