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아종 기자
대웅제약(대표 박성수·이창재)은 8일, 자사의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가 체중 감소 여부와 관계없이 지방세포 기능을 나타내는 주요 대사 호르몬인 렙틴(leptin) 수치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결과는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2025 미국당뇨병학회(ADA) 연례학술대회’에서 강북삼성병원 박철영 교수팀이 이차 분석 형식으로 공개한 것이다.
이번 분석은 기존 3상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일 계열 약물인 다파글리플로진과 비교해 진행되었다. 총 426명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24주간 진행된 연구에서, 엔블로는 체중 변화와 무관하게 렙틴 수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특히 체중 변화가 크지 않았던 환자군(체중 감소폭 3% 미만)에서도 엔블로군은 평균 0.90µg/L의 렙틴 감소를 보였으며, 반면 다파글리플로진군에서는 오히려 1.71µg/L 증가했다.
렙틴은 지방세포에서 분비되어 식욕과 에너지 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호르몬으로, 비만 환자에서는 렙틴 저항성이 흔히 나타난다. 이 상태에서는 렙틴 수치가 높아도 뇌가 이에 반응하지 않아 식욕 조절 기능이 저하되고 대사불균형이 지속된다. 연구팀은 엔블로가 체중 감소가 크지 않은 환자에서도 렙틴 수치를 낮췄다는 점에서, 지방세포 기능 개선 효과를 직접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했다고 밝혔다.
해당 결과는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했으며(p=0.043), 엔블로가 SGLT-2 억제제 중 체중 변화 없이 렙틴 수치 개선 효과를 보인 최초의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기존에 보고된 인슐린 저항성 개선 효과에 이어, 렙틴 조절이라는 대사 호르몬 측면에서도 엔블로의 효능이 확인된 셈이다.
이번 연구를 발표한 류영상 조선대학교 내분비대사내과 교수는 “엔블로가 단순한 체중 감소 효과를 넘어, 지방세포 기능 자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며 “대사질환 치료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의미 있는 결과”라고 설명했다. 다만, 렙틴 수치 감소의 생리적 기전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아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형철 대웅제약 ETC 마케팅본부장은 “이번 연구는 국내 개발 신약인 엔블로의 차별화된 대사 기전을 뒷받침하는 임상적 근거가 되었으며, 향후 대사 불균형과 지방세포 기능 이상을 동반한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옵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엔블로(성분명: 이나보글리플로진)’가 체중 감소 여부와 관계없이 지방세포 기능을 나타내는 주요 대사 호르몬인 렙틴(leptin) 수치를 낮춘다는 연구 결과가 당뇨환우들의 회복에
많은 도움주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