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심청 기자
한국은행은 지난달 30일, 예금은행과 비은행금융기관의 5월 중 가중평균금리를 발표했다. 이번 자료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신규취급액 기준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2.63%로 나타나, 전월에 비해 0.08%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준의 대출금리는 연 4.17%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낮아졌다. 대출금리보다 예금금리가 더 크게 떨어지면서 양자 간 차이는 전월보다 0.06%포인트 확대된 1.54%포인트가 됐다.
여기서 말하는 가중평균금리는 단순 평균이 아니라, 실제 거래 금액의 비중을 반영해 계산한 수치다. 예를 들어 많은 금액이 거래된 대출의 금리는 적은 금액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신규취급액 기준은 해당 월에 새로 체결된 예금과 대출에 적용된 금리를 의미하며, 최근 금융시장 움직임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잔액 기준으로 보면 전체 예금금리는 연 2.23%, 전체 대출금리는 연 4.42%로 각각 0.04%포인트, 0.06%포인트 하락했다. 예대금리 차는 2.19%포인트로, 전월보다 소폭 줄었다. 잔액 기준은 월말 현재 금융기관이 보유한 예금과 대출 전체에 적용된 금리의 평균으로, 금융기관 수익구조를 분석할 때 활용된다.
대출금리 내에서도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간 흐름은 엇갈렸다. 기업대출금리는 0.02%포인트 상승한 반면, 가계대출금리는 0.10%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금리는 연 3.87%로, 전월보다 0.11%포인트 낮아져 가계의 이자 부담이 다소 줄어들었다.
비은행 금융기관의 경우, 금리 흐름이 기관별로 상이했다. 상호저축은행의 예금금리는 전월과 같은 2.98%를 유지했으나, 대출금리는 10.92%로 0.20%포인트 상승했다. 신용협동조합의 예금과 대출금리는 각각 0.09%포인트, 0.02%포인트 하락했다. 새마을금고의 예금금리는 3.14%, 대출금리는 4.79%로 나타났으며, 예금은 내리고 대출은 올랐다.
금리 동향 전반을 살펴보면, 예금금리는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대출금리는 일부 구간에서 여전히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시중 유동성 변화, 금융기관 간 경쟁 심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이번에 발표된 자료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ECOS를 통해 열람할 수 있으며, 예금 또는 대출을 고려 중인 금융소비자라면 이러한 금리 흐름을 참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리는 단기적인 시장 흐름뿐 아니라 중장기적인 경제상황을 반영하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월 금융기관 금리동향 ” 타이틀은 독자들에게 마치 지나간 금리동향인 것 같은 오해를 불러올 수 있어서
한국은행 발표 금리동향 정도로 조정하면 어떨까요 ?
본문에서 작은 글씨로 5월말 기준 정도로 처리하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