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심청 기자
2024년 말 기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174.3%로 집계되며 전년 말(193.7%) 대비 19.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현황’을 발표했다. 금융복합기업집단법상 규제비율인 100%를 상회하고 있어 손실흡수능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는 평가다.
자본적정성 비율 하락의 주요 원인은 통합자기자본 감소와 통합필요자본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체 통합자기자본은 171.1조 원으로 전년 대비 4.7조 원 줄었고(△2.7%), 통합필요자본은 98.1조 원으로 7.3조 원 증가(+8.1%)했다. 보험계열사를 포함한 그룹에서 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와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집단별 자본적정성 비율은 교보(201.4%),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미래에셋(+8.7%p)을 제외한 모든 기업집단에서 비율이 하락했다. 특히 교보는 △37.5%p 하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미국의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자본적정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며 “내부거래와 공동투자 등으로 인한 전이·집중위험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도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24년 말 기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총자산은 1,328.9조 원, 당기순이익은 13.0조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증가했다. 그룹별로는 삼성(5.3조 원), 현대차(1.8조 원), DB(1.9조 원), 미래에셋(1.6조 원) 등이 높은 수익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