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전경, 출처 : 스카이메타뉴스

차심청 기자

2024년 말 기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자본적정성 비율이 174.3%로 집계되며 전년 말(193.7%) 대비 19.4%포인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은 2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금융복합기업집단 자본적정성 비율 현황’을 발표했다. 금융복합기업집단법상 규제비율인 100%를 상회하고 있어 손실흡수능력은 전반적으로 양호하다는 평가다.

자본적정성 비율 하락의 주요 원인은 통합자기자본 감소와 통합필요자본 증가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금감원에 따르면 전체 통합자기자본은 171.1조 원으로 전년 대비 4.7조 원 줄었고(△2.7%), 통합필요자본은 98.1조 원으로 7.3조 원 증가(+8.1%)했다. 보험계열사를 포함한 그룹에서 금리 하락에 따른 보험부채 증가와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감소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집단별 자본적정성 비율은 교보(201.4%), DB(195.0%), 다우키움(193.8%), 삼성(185.1%), 미래에셋(164.2%), 한화(154.9%), 현대차(146.9%)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미래에셋(+8.7%p)을 제외한 모든 기업집단에서 비율이 하락했다. 특히 교보는 △37.5%p 하락하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금감원은 “미국의 관세정책 등 대외 불확실성과 금융시장 변동성에 대비해 자본적정성 비율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라며 “내부거래와 공동투자 등으로 인한 전이·집중위험 발생 가능성에 대해서도 감독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2024년 말 기준 7개 금융복합기업집단의 총자산은 1,328.9조 원, 당기순이익은 13.0조 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증가했다. 그룹별로는 삼성(5.3조 원), 현대차(1.8조 원), DB(1.9조 원), 미래에셋(1.6조 원) 등이 높은 수익을 기록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