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이 지난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 행사장에 마련된 SK 전시관에서 유리기판을 살펴보고 있다. 출처 : SK

김도균 기자

SK그룹이 20일 울산에 AWS와 함께 국내 최대 규모의 AI 전용 데이터센터를 세우며, AI 중심의 네 번째 산업 도약에 나선다. 앞서 섬유, 석유화학, 이동통신·반도체로 이어진 세 차례 퀀텀 점프에 이어 이번엔 AI가 핵심이다.

이번 울산 AI 데이터센터는 하이퍼스케일 규모로, 2027년 본격 가동될 예정이다. 약 7만8000여 명의 고용 효과가 기대되며, SK텔레콤·SK하이닉스·SK가스 등 그룹 계열사들이 총출동해 시스템 구축에 참여한다. 냉각·전력 시스템은 AI 처리에 최적화됐고, 향후 친환경 전력으로 운영될 계획이다.

SK는 2030년까지 AI·반도체에 82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으며, 이번 사업은 그 첫 결과다. AWS는 SK의 AI 역량에 주목해 APAC 허브 파트너로 함께하고 있으며, 양사는 향후 15년간 인프라 공동 구축에 나선다.

울산은 제조업 중심 도시로, 이번 AI DC를 계기로 스마트팩토리, 디지털트윈 등 AI 기반 제조혁신 거점으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SK는 울산을 시작으로 전국 단위의 AI 인프라 확장에 나서며, AI 3대 강국 실현에 기여하겠다는 입장이다.

By 김도균 기자

스카이메타뉴스 편집국장 김도균입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한국산업은행 제1회 시험출신 행정사 (전)소비자경제신문 기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