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균 기자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7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 말보다 2조8천억 원 증가한 수준으로,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과 물품·서비스의 외상거래로 구성된다. 이번 분기에도 가계대출은 늘었지만, 판매신용은 감소해 상쇄효과가 나타났다.
가계대출은 1,810조3천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4조7천억 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9조7천억 원 증가해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반면, 기타대출은 4조9천억 원 감소해 자금 수요의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금융기관 유형별로는 예금은행이 8조4천억 원 증가하며 증가세를 주도했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1조 원 증가에 그쳤다. 기타금융기관은 4조7천억 원 감소해 전체 가계대출 증가폭을 제약했다.
판매신용은 118조5천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9천억 원 감소했다. 이는 주로 여신전문금융회사에서의 신용카드 채권 축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백화점, 자동차회사 등 판매회사에서의 외상거래는 큰 변동이 없었다.
한편,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가계신용이 46조3천억 원(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 회복세와 함께 일부 대출 수요가 다시 살아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은행은 “가계신용 증가세는 계절성과 정책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가계의 금융건전성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밝혔다.
가계신용 통계는 한국은행 ECOS 시스템(https://ecos.bok.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