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2025년 1분기 가계신용(잠정)’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928조7천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분기 말보다 2조8천억 원 증가한 수준으로, 증가폭은 다소 둔화됐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금융기관으로부터 받은 대출과 물품·서비스의 외상거래로 구성된다. 이번 분기에도 가계대출은 늘었지만, 판매신용은 감소해 상쇄효과가 나타났다.
가계대출은 1,810조3천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4조7천억 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이 9조7천억 원 증가해 전체 증가세를 견인했다. 반면, 기타대출은 4조9천억 원 감소해 자금 수요의 양극화 양상을 보였다.
금융기관 유형별로는 예금은행이 8조4천억 원 증가하며 증가세를 주도했고, 비은행예금취급기관은 1조 원 증가에 그쳤다. 기타금융기관은 4조7천억 원 감소해 전체 가계대출 증가폭을 제약했다.
판매신용은 118조5천억 원으로, 전분기 대비 1조9천억 원 감소했다. 이는 주로 여신전문금융회사에서의 신용카드 채권 축소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백화점, 자동차회사 등 판매회사에서의 외상거래는 큰 변동이 없었다.
한편, 전년 동기 대비로는 가계신용이 46조3천억 원(2.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 회복세와 함께 일부 대출 수요가 다시 살아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은행은 “가계신용 증가세는 계절성과 정책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가계의 금융건전성 관리가 지속적으로 요구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