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도균 기자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중 마지막까지 미국의 최고 신용등급을 유지하던 Moody’s가 결국 미국의 장기신용등급을 Aaa에서 Aa1로 한 단계 낮췄다. 이로써 미국은 S&P(2011년), Fitch(2023년)에 이어 세 기관 모두로부터 최고 등급을 상실하게 됐다.


하향 조정 배경: 부채 폭증과 정치적 교착

Moody’s는 이번 등급 하향의 주요 사유로 ▲연방정부의 지속적인 재정적자, ▲급증하는 부채 이자 부담, ▲의회와 행정부 간의 재정개혁 합의 실패를 지적했다. 특히 2035년까지 연방정부 부채가 GDP 대비 134%에 달하고, 이자지급액이 세입의 3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Moody’s는 “미국의 재정정책은 지난 수십 년간 구조적인 개혁 없이 지출과 감세를 반복해 왔으며, 현재 논의 중인 재정안들도 실질적인 적자 감축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정치권 반응: 책임 공방과 정책 혼선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 하향 조정을 바이든 행정부의 과도한 지출 탓으로 돌리며, Moody’s의 결정은 “정치적 판단”이라고 비판했다. 재무장관 스콧 베센트는 “Moody’s는 후행 지표일 뿐”이라며 일축했다.

한편, 공화당 주도의 하원은 2017년 감세법 연장과 국방·이민 예산 확대 등을 포함한 ‘One Big Beautiful Bill’을 추진 중이나, 이 법안은 향후 10년간 최대 5조 달러의 재정적자를 추가로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시장 반응: 아시아 증시 하락, 금리 상승

Moody’s의 발표 이후 아시아 증시는 일제히 하락세를 보였으며, 미국 10년물 국채 금리는 4.5%를 돌파했다. 달러화는 약세를 보였고, 안전자산 선호로 금 가격은 상승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등급 하향이 단기적으로는 시장에 큰 충격을 주지 않겠지만, 장기적으로는 미국의 재정 건전성에 대한 신뢰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전망: 신용등급 ‘안정적’ 유지… 그러나 구조개혁 없이는 추가 하향 가능성

Moody’s는 미국의 경제 규모,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 연준의 독립성 등을 고려해 신용등급 전망을 ‘안정적’으로 유지했다. 그러나 재정적자와 부채 증가 추세가 지속될 경우 추가 하향 조정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