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전경, 출처 : 스카이메타뉴스

[스카이메타뉴스=김도균] 한국은행은 16일 「2025년 4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잠정)」를 발표하고, 환율과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수출입물가지수가 모두 하락한 가운데, 수출 물량 증대로 인해 교역조건 지수는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수출입물가지수 동반 하락…화학·석유·운송장비 중심

4월 수출물가지수(원화기준)는 전월 대비 1.2% 하락, 전년 동월 대비 0.7% 상승했다.
수입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1.9% 하락, 전년 동월 대비 2.3% 하락해 수출보다 더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은 “원/달러 환율이 3월 1,456.95원에서 4월 1,444.31원으로 하락하면서 원화 기준 가격이 낮아졌고, 화학제품·석유제품·운송장비 등 주요 수출입 품목의 국제가격 하락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수출물량 7.7% 증가…1차 금속·전자제품이 견인

수출물량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7.7% 증가했으며, 이는 1차 금속제품(18.4%), 컴퓨터·전자·광학기기(18.0%), 전기장비(6.7%) 등이 주요 견인 요인이었다.

수입물량지수도 같은 기간 2.2% 증가했지만, 수출 증가폭에는 미치지 못했다.


교역조건 지수, 2023년 이후 최대폭 상승

수입 가격 하락이 수출보다 더 크게 나타나면서 순상품교역조건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1.2% 상승했고,
수출물량 증가 효과가 더해진 소득교역조건지수는 9.0% 상승해, 실질 교역이익이 대폭 개선됐다.

이는 2023년 이후 가장 높은 상승 폭이며, 수출 1단위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수출총액으로 수입 가능한 상품량이 동시에 개선된 결과다.


유가·환율 영향 지속…불확실성 여전

한은은 이번 수출입물가 하락이 “두바이유가의 전월 대비 6.6% 하락(72.49달러 → 67.74달러)과 원화 강세에 따른 외화 환산 효과”에 기인했다고 분석했다.

다만, “중동 정세, 주요국 통화정책, 수급 불균형 등으로 가격 변동성이 여전하므로 향후 물가 흐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By 김도균 기자

스카이메타뉴스 편집국장 김도균입니다.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한국산업은행 제1회 시험출신 행정사 (전)소비자경제신문 기자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