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전경, 출처 : 스카이메타뉴스

글로벌 무역분쟁·관세 변수에 금융시장 요동

2025년 4월 국내 금융시장은 글로벌 무역분쟁 심화와 미국 관세정책 강화 등 속에서 금리와 주가가 큰 폭으로 변동하며 불안한 흐름을 나타냈다.

가계 및 기업대출은 모두 증가폭을 확대했으며, 은행권 수신은 대폭 감소한 반면 자산운용사 중심으로 자금이 대거 유입됐다.

한국은행이 14일 발표한 ‘2025년 4월 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국고채(3년) 금리는 전월 말 대비 0.30%포인트 하락한 2.27%를 기록했다.

외국인의 대규모 국채선물 순매수와 경기둔화 우려가 주요 하락 요인으로 작용했다.

반면 코스피는 글로벌 무역긴장 완화 기대감 속에 4월 말 2,557포인트로 반등한 데 이어, 5월 13일 기준 2,608포인트까지 상승했다.

가계·기업대출 모두 큰 폭 증가

은행 가계대출은 4월 한 달 동안 4.8조원 증가해 전월(+1.6조원) 대비 세 배 가까이 늘어났다.

주택담보대출이 주택거래 회복 영향으로 3.7조원 증가하며 전체 상승을 견인했다.

기타대출도 계절적 요인 소멸로 인해 전월 감소세에서 증가(+1.0조원)로 전환했다.

기업대출은 더 큰 폭으로 확대됐다. 3월 2.1조원 감소에서 4월 14.4조원 증가로 급반전했다. 대기업은 배당금 지급 및 시설자금 수요로, 중소기업은 부가세 납부와 무역금융 지원 영향으로 대출 수요가 늘어났다.

수신 감소, 자산운용사로 쏠림 현상

4월 중 은행권 수신은 25.9조원 감소하며 전월(+12.3조원 증가) 대비 급격한 하락세를 보였다. 수시입출식예금이 부가세 납부 및 배당금 지급을 위한 기업자금 유출로 36.8조원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반면 자산운용사 수신은 MMF(머니마켓펀드)를 중심으로 38.5조원 급증했다.

이는 분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해 일시 인출됐던 법인자금이 재유입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채권형펀드와 주식형펀드 모두 자금 유입 규모를 확대했다.

금융시장 변동성 지속 가능성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무역분쟁과 미국 통화정책 경로에 따라 시장 변동성이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특히 대출 확대가 연체율 증가로 이어질 경우 금융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커질 수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